티스토리 뷰
[세계 문화] 입헌군주제 뜻과 정의, 장단점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봄앤이예요 'ᗜ'✿
인류 문명의 역사와 함께해온 군주제는, 군주라는 1인이 최고 권력을 가진 정치 형태를 의미합니다. 최초의 인류가 사회를 구성하면서 탄생한 '족장' 역시 군주제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는데요. 1인에게 모든 권력이 부여된다는 점에서 리스크가 크다 보니, 대부분의 국가는 군주제를 폐지하거나 군주의 권력을 제한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탄생한 것이 바로 입헌군주제이죠.
오늘은 저와 함께 입헌군주제의 정확한 뜻과 특징 그리고 장단점 등을 알아보도록 할 텐데요. 평소 일본 정치에 관심이 많았던 분이라면 이 글을 주목해주시기 바랍니다. 일본도 지금까지 군주제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거든요.
입헌군주제 뜻
Constitutional monarchy
군주제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뉘고 있습니다. 하나는 입헌군주제이고 또 하나는 절대군주제인데요. 정부와 국민에 대한 모든 권력을 가지고 있는 절대군주제와 달리, 입헌군주제는 법 아래 군주가 존재하는 정치 형태입니다. 즉 군주는 법의 테두리 안에서만 권력을 행사할 수 있으며, 권력 역시 매우 제한적인 경우가 많죠. 그래서 입헌군주제의 군주는 ‘다스리지만 통치하지 않는 주권자’ 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입헌군주제 특징
Constitutional monarchy characteristics
입헌군주제의 특징으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 군주는 세습을 통해 계승된다.
대국민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하는 우리나라와 달리, 입헌군주제의 군주는 세습을 통해 그 권력이 계승되고 있습니다. 즉 세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군주는 사망하거나 퇴임할 때까지 그 권력이 유지되며, 퇴임 후에는 군주의 아들이나 딸이 권력을 물려받게 되죠. (대신 조직된 정부의 통치자는 투표를 통해 선출되는 경우가 많다.)
- 군주의 권력은 조직된 정부와 공유된다.
입헌군주제에서 군주의 권력은 대부분 조직된 정부와 공유됩니다. 모든 군주가 현명한 통치 능력을 갖는 건 아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실질적인 통치는 조직된 정부에게 위임하는 경우가 많고, 군주는 이런 정부를 해체하거나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습니다.
- 군주의 칭호는 다양하다.
군주의 칭호는 국가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국의 군주는 왕이나 여왕이지만, 일본의 군주는 천왕이라고 하죠.
입헌군주제 장점
Constitutional monarchy advantages
입헌군주제는 세습으로 권력을 계승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후계구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군주가 갑작스럽게 사망하거나 권력을 잃어도, 국민은 혼란을 느낄 가능성이 적습니다.
또 입헌군주제는 권력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데요. 군주가 권력을 휘두르려고 하면 정부가 이를 막을 수 있고, 정부가 권력을 독점하려고 하면 군주가 이를 제제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입헌군주제는 정치와 관련된 모든 문제를 중립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군주와 정치 조직이 서로의 의견에 조언자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입헌군주제 단점
Constitutional monarchy disadvantages
입헌군주제의 가장 큰 단점은 군주의 권력 남용입니다. 조직된 정부가 이를 막는다고는 하나, 만약 통치자가 군주에게 모든 권한을 부여하면, 군주를 막을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모든 군주가 현명하고 공정한 권력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리스크가 큰 편인데요. 군주와 함께 일하는 통치자를 국민이 직접 선출할 수 있기는 하나, 통치자 역시 현명하지 못하다면, 국가는 혼란에 빠지기 쉽습니다.
세습자가 너무 어리거나 무지해도 문제가 됩니다. 실제로 1995년 우간다에서는 3세밖에 되지 않는 어린아이가 군주가 된 경우도 있었죠.
입헌군주제 국가 리스트
List of Constitutional Monarchies country
왕국(Kingdom)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모로코, 바레인, 바레인, 벨기에, 부탄, 스웨덴, 스페인, 영국, 요르단, 캄보디아, 태국, 통가, 레소토
공국(Principality/Grand Duchy)
리히텐슈타인, 룩셈부르크, 모나코, 안도라
토후국, 아미르국(Emirate)
카타르, 쿠웨이트
기타
말레이시아, 일본 (일본 천왕은 유일하게 황제로 불리는 군주이다.)
이밖에 영연방 왕국이라는 것이 존재하는데요. 현재 엘리자베스 2세를 군주로 하는 국가입니다. 리스트로는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자메이카, 바베이도스, 바하마, 그레나다,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제도, 투발루,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벨리즈, 앤티가 바부다, 세인트키츠네비스가 있죠.
전 사실 정부 형태나 정치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아서, 입헌군주제의 정확한 뜻을 몰랐습니다. 그래서 이 내용을 준비하는 데만 거의 한 달이 걸렸는데요. 여러 가지 자료를 비교하고 분석했다고는 하나,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틀린 내용은 덧글로 따뜻한 지적 부탁드릴게요. ✿
[세계 문화] 정부 형태, 단방제[단일 국가] 뜻과 개념 알기
[세계 문화] 정부 형태, 단방제[단일 국가] 뜻과 개념 알기 안녕하세요. 봄앤이예요 'ᗜ'✿ 세상에 존재하고 있는 수많은 국가는 인종, 문화, 역사 등을 고려한 각기 다른 정부 형태를 띠고
doreen-vallog.tistory.com
[세계 문화] 2021 자살률 가장 높은 국가 / 세계 자살률 순위
[세계 문화] 2021 자살률 가장 높은 국가 / 세계 자살률 순위 안녕하세요. 봄앤이예요.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자살은, 전 세계 사망률의 1.4%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매년 약 800,00
doreen-vallog.tistory.com
[세계 문화] 세상에서 부정부패 적은 국가 순위 Top10
[세계 문화] 세상에서 부정부패 적은 국가 순위 Top10 안녕하세요. 봄앤이예요 'ᗜ'✿ 부정부패란 개인의 권력, 영향력 등을 이용해 부당하게 취하는 이득을 말합니다. 이렇게 취한 개개인
doreen-vallog.tistory.com